장례절차 장례식장 예절 알아보자

사람이 태어나는 순서가 있다고 하는데 죽음에는 순서가 없다고 합니다. 누구나 겪어야 될 일이지만 참 슬픈일 입니다. 이렇듯 사람이 한번 태어나고 죽는건 어쩔수 없는 일인듯 합니다.

오늘은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하게 되는 장례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쾌하게 생각하고 싶은 절차는 아니지만 분명히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 입니다. 장례절차를 알아두면 나중에 당황하지 않고 처리할수 있을거라 생각 합니다.


요즘은 장례식장에서 많이 고인을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때 유언이 있으셔서 집에서 했습니다. 장례는 보통 3일장이 일반적 입니다.

1일 차 장례절차 접수->이송/ 상담 ->부음 -> 빈소준비 음식, 제단꽃장신, 부고장 재래상복, 예복, 제물, 장지 매장및 화장여부를 결정하고 식장 입실 후 분양소를 설치해야 합니다. 상주는 입관 전까지 재래상복을 착용하고, 유족은 입관/염습 후 상복을 착용 합니다. 예복일 경우 상주는 양복 왼팔에 2줄 완장 그밖의 유족은 1줄 완장합니다


2일 차 장례절차 염습/입관 -> 송복 -> 조문준비 종교에 따라 입관예절도 다릅니다. 가족이 원하는 시간에 염습과 입관도 행해지며 입관후 상주는 배중단과 두건 행전을 착용하며 상장막대를 짚습니다. 또한 가족들은 장지음식 ,산일등 전체적으로 점검하고 제출용 장례확인서를 발급할수 있도록 요청해야 합니다.

3일 차 장례절차 발인 -> 매장또는 화장- >제례 -> 완료 -> 탈상 종교에따라 불교식은 새벽상식을 올리고 기독교는 발인예배,천주교식은 출관예절을 행하면 되요 모든 물품을 반납하고 정산하며 장지음식및 물품점검후 발인제를 합니다.


이처럼 복잡한 장례절차는 집안에 예절을 잘 알고 계시는 어른이 없다면 아무래도 더 우왕좌왕하기가 쉽습니다. 예전에는 고인의 몸과 옷을 정갈하게 정리하고 화장을 위한 절차를 밝거나 제수용품준비등 모든것을 가족이 도맡았지만, 요즘같은 핵가족 시대에는 도맡아할 가족도 많이 없을 뿐더러 도움을 받을 만한 분들을 모시기도 쉽지 않습니다.

시대에 맞춰 상조회사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장례지도사와 제수용품은 어떤지 음식및 도우미들 평가는 어떤지 미리 따져보고 천천히 준비하는 가족들이 많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상조회사 마다 주는 특별서비스도 다르고 만기 환급금도 다르니 미리 준비하셔서 장례를 준비할 때, 당황하거나 실수를 최소화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장례라는 절차는 결코 유쾌한일은 아닌것 같습니다.